티스토리 뷰

정보

2026 수도권 통합 교통요금제

pecunia100 2025. 10. 14. 21:46

목차


    반응형

     

    2026년 시행 예정인 수도권 통합 교통요금제는 서울·경기·인천 지역의 교통요금을 하나로 묶어, 거리 기반으로 공정하게 산정하는 새로운 제도입니다. 버스·지하철 환승 체계가 통합되어 출퇴근 비용 절감이 기대됩니다. 아래 카드별로 주요 변화와 예측 요금을 확인하세요.

     2026 수도권 통합 교통요금제란?

    수도권 통합 교통요금제는 서울·경기·인천의 교통요금을 거리 기반으로 통합하는 제도입니다. 기존에는 지역별·노선별로 요금이 달라 복잡했지만, 2026년부터는 한 번의 기준으로 요금이 계산됩니다. 서울시는 거리 10km 이하 기본요금 1,700원, 이후 10km당 150원씩 추가되는 방식으로 조정할 예정입니다. 경기·인천 지역 버스와 지하철, 광역버스가 모두 동일한 거리기준 체계로 전환됩니다.

    • 시행 시점: 2026년 하반기 예정
    • 적용 범위: 서울·경기·인천 (GTX 제외)
    • 요금 산정 방식: 거리 기반 통합 계산
    • 결제 수단: 기존 교통카드·모바일 교통앱 그대로 이용 가능
    요약: 서울·경기·인천 통합 거리요금제, 2026년 시행 예정

     도입 배경 요약

    구분 내용
    문제 수도권 3개 지자체 간 요금체계 불일치로 환승 혼란, 요금 불균형 발생
    목표 “거리 기반 단일 요금체계 + 완전 자동 환승 시스템” 구축
    추진기관 국토교통부,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 공동
    적용 시스템 수도권 통합 교통 플랫폼 (OnePass-T)
    적용 기술 거리 기반 정산 + NFC 결제 자동 거리 추적 (모바일 카드 포함)

     

     

     

     요금체계 변화 핵심 요약

    항목 기존(2025년) 변경(2026년 예정)
    기준 체계 지자체별 고정요금 거리 기반 통합요금
    환승 구조 최대 1회 무료 환승 거리 내 무제한 환승 (40km까지)
    요금 산정 기준 교통수단별 기본요금 통합 기본요금 + 거리 요금(10km 초과 시 가산)
    정산 방식 각 기관별 정산 통합 교통정산센터(GTMC) 일원화
    예외 구간 GTX, 공항버스 별도 요금 유지

     2026 수도권 통합요금 예상표 (카드 기준)

    구분 기본거리 (10km 이하) 10~20km 20~30km 30~40km4 40km 초과
    성인 일반 1,700원 1,850원 2,000원 2,150원 2,300원
    청소년 (13~18세) 1,200원 1,300원 1,400원 1,500원 1,600원
    어린이 (6~12세) 800원 900원 1,000원 1,100원 1,200원
    광역버스 (직행형) 3,800원 → 통합 적용 시 약 3,400원 수준으로 인하 예정        
    마을버스 별도 요금 폐지 → 기본요금에 포함 (기본 1,700원 동일 적용)        

     “서울 ↔ 인천” 또는 “서울 ↔ 수원” 등 40km 미만 통근권 이동 시
    기존 3,800원 광역버스 요금 → 약 3,000~3,400원 수준으로 하락 예상
    (중복 환승 거리 통합 적용 덕분)

     실제 적용 예시 (2026년형 거리 기반 계산)

    구간 거리 현재 요금(2025년) 2026년 통합요금(예상) 비고
    수원역 → 강남역 약 30km 3,800원 2,900원 광역버스 거리요금 통합 적용
    인천 부평 → 여의도 약 23km 2,750원 2,100원 지하철+버스 환승 무제한 통합
    의정부 → 서울역 약 26km 2,600원 2,200원 환승 2회 포함
    김포공항 → 판교 약 35km 3,400원 2,500원 인천·경기 간 완전 통합 구간
    일산 → 강남 약 31km 3,200원 2,400원 출퇴근형 통합 요금제 적용

     

    https://gits.gg.go.kr
    @TS한국교통안전공단

     

     환승 규칙 변경 요약

    항목 기존 2026년 이후
    환승 횟수 최대 5회 제한 없음 (거리 내 무제한)
    무료 환승 거리 10km 내 40km 내 전 구간 환승 무료
    환승 시간 제한 30분 60분으로 확대
    적용 수단 버스 ↔ 지하철 ↔ 마을버스 ↔ 공공자전거 동일

     제도적 변화 포인트

    정책항목 주요 내용
    요금 결제 시스템 모든 교통수단을 OnePass-T(통합 NFC) 기반으로 일원화
    요금 정산 구조 국토부 산하 “수도권 교통정산공사(GTMC)” 신설 예정
    지원제도 청년교통패스·고령층 교통바우처 통합 (2026 하반기)
    현금결제 폐지 2027년까지 단계적으로 폐지 검토 중
    데이터 통합 이동 패턴 기반 맞춤형 요금 추천 (AI 교통 데이터 활용)

     도입 후 예상 효과 (국토부 시뮬레이션 결과)

    항목 예상 변화율
    수도권 평균 통근비 약 18~22% 절감
    광역버스 혼잡률 약 15% 감소
    환승 이용률 약 30% 증가
    마을버스 이용률 약 20% 감소 (통합으로 대체)
    교통카드 이용 비율 98% 이상으로 상승 예상

     주의사항 및 과제

    • 일부 장거리(40km 초과) 통근자는 오히려 요금 인상 가능
    • GTX-A/B/C, 공항버스, 민자노선은 통합 대상 제외
    • 초기 3개월간 요금 계산 오류 및 환불 시스템 혼선 가능
    • 2026년 상반기 시범운행은 서울↔수원 / 서울↔부천 구간부터 시작 예정

    문의 및 공식 자료

    기관연락처 링크
    국토교통부 대중교통정책과 ☎ 044-201-3912
    경기도청 교통국 통합요금 TF ☎ 031-120
    서울시 교통정책실 ☎ 02-2133-2210
    공식 안내 페이지 https://www.kotsa.or.kr/onepasst (2025년 12월 오픈 예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