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개편안이 발표되면서 수험생들의 과목 선택 전략이 더욱 중요해졌다. 특히 국어·수학의 공통과목 조정, 탐구영역 과목 개편 등 여러 변화가 예정되어 있어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2025 수능 개편의 핵심 내용을 정리하고, 각 과목별로 유리한 선택법을 제시한다.
1. 국어 과목 선택 : 언어와 매체 vs 화법과 작문
2025학년도 수능 국어영역에서는 독서와 문학이 공통과목으로 지정되며, 언어와 매체 또는 화법과 작문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과목별 특징
- 언어와 매체 : 문법(언어)과 매체 활용 능력을 평가하는 과목으로 논리적 사고력이 중요한 영역이다. 개념을 확실히 익히면 안정적인 점수를 받을 수 있지만, 일부 학생들에게는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
- 화법과 작문 : 실용적인 언어 활용 능력을 평가하며,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은 과목으로 여겨진다. 문제 유형이 익숙하고, 독해력이 강한 학생들에게 유리할 수 있다.
유리한 선택법
- 문법과 논리적 사고가 강하다면 → 언어와 매체 선택
- 독해력이 좋고 실용적인 글쓰기에 강하다면 → 화법과 작문 선택
언어와 매체의 난도가 상대적으로 높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자신의 학습 스타일과 목표 대학의 반영 방식을 고려하여 신중히 선택해야 한다.
2. 수학 과목 선택 : 확률과 통계 vs 미적분
과목별 특징
- 확률과 통계 : 개념이 비교적 쉬운 편이며, 실생활과 연관된 문제들이 많아 문과 학생들에게 유리할 수 있다. 다만, 자연계열 모집단위에서는 미적분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다.
- 미적분 : 공학·이과 계열에서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과목으로, 개념 난도가 높은 편이다. 함수, 미분, 적분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해야 고득점이 가능하다.
유리한 선택법
- 인문계열 지원 예정 → 확률과 통계
- 이공계 및 자연계열 지원 예정 → 미적분
상위권 대학의 자연계열에서는 미적분을 필수로 요구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지원 학과의 반영 방식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3. 탐구 과목 선택 : 1과목 체제, 어떻게 선택할까?
2025학년도 수능에서는 기존의 사회·과학탐구 2과목 선택 방식에서 1과목 선택으로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탐구 과목 선택이 더욱 중요해졌다.
과목별 특징 및 선택법
- 사회탐구
- 생활과 윤리 : 개념이 쉬운 편이지만, 암기량이 많다.
- 사회·문화 : 통계와 개념 암기가 필요하며, 문제 해결 능력이 중요하다.
- 경제 : 수학적 사고가 필요하지만, 변별력이 있다.
- 세계사·동아시아사 : 역사적 흐름을 이해하면 점수 확보가 용이하다.
√ 경영·경제학과 지원 예정 : 경제, 사회·문화 - 과학탐구
- 물리학Ⅰ: 개념이 명확하고 계산이 중요, 물리적 직관이 필요하다.
- 화학Ⅰ: 암기와 계산이 균형을 이루며, 난이도가 다소 높다.
- 생명과학Ⅰ: 이해 위주의 과목으로, 의학·생명과학 계열에 유리하다.
- 지구과학Ⅰ: 개념 위주로 학습 가능하며, 문과 학생들에게도 유리하다.
√ 의학·생명과학 계열 지원 예정 : 생명과학Ⅰ 필수 고려
√ 문과 학생이 과학탐구 선택 시 : 지구과학Ⅰ 추천
탐구 과목은 한 과목만 선택할 수 있으므로, 자신이 가장 자신 있는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결론 : 2025 수능, 맞춤형 과목 선택이 핵심
2025학년도 수능 개편으로 인해 국어·수학·탐구 영역의 선택 과목이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각 과목의 난이도와 유불리를 고려하여 신중한 선택이 필요하다.
- 국어 : 문법이 강하면 언어와 매체, 독해력이 강하면 화법과 작문
- 수학 : 인문계는 확률과 통계, 자연계는 미적분
- 탐구 : 인문계는 사회·문화, 자연계는 생명과학Ⅰ·화학Ⅰ 추천
반응형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한 뇌를 위한 과학적 접근 (0) | 2025.03.31 |
---|---|
한자어의 특징과 현대 한국어에서의 활용 (0) | 2025.03.27 |
대학생 필수 자기계발 책 추천과 독서 방법 (0) | 2025.03.02 |
초등학생 독서 습관 만들기 (2) | 2025.03.01 |
미국 대학 유학생 인턴십 - 실리콘밸리 중심 (0) | 2025.02.06 |